경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감소
부자되는 정보
2024. 2. 11. 08:35
반응형
일본 주식시장 '닛케이지수' 34년 만에 사상 최고치 돌파
- 9일 오전, 일본의 대표적인 주식시장 지수인 닛케이지수가 3만7000선을 돌파했다.
- 이는 1990년 2월 이후 34년 만에 닛케이지수가 이렇게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거품경제 시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지난 8일에도 닛케이지수는 2.06% 상승하여 3만6863에 마감했었다.
- 이러한 상승세는 4월부터 12월까지 일본 기업들의 호조된 실적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된다.
- 미국 뉴욕증시에서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장중 5000선을 돌파하면서 엔화의 약세가 계속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요약: 9일 오전, 닛케이지수가 3만7000선을 넘어섬으로써 1990년 이후 34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일본 기업들의 호조된 실적에 기반하여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며, 미국 뉴욕증시에서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 달러화 강세와 국제 유가의 이례적인 관계 변화
- 과거에는 미 달러화 강세 시 국제 유가 하락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이 관계가 변화되고 있다.
- 미 달러화의 강세는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미국의 에너지 순수출국 전환과 관련이 있다.
- 우리나라는 과거 국제 유가 하락 시 강달러로 인한 상쇄효과를 누려왔으나, 이러한 관계가 변하고 있음.
- 미 달러화와 국제 유가 간의 관계 변화로 인해 정부는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 미 달러화 강세와 국제 유가의 이례적인 관계 변화는 우리나라의 경제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 달러 강세, 원/달러 환율 하락 예상의 균열?
- 미국 Fed의 예상 금리 인하로 인한 원/달러 환율 하락 기대.
- 그러나 미 달러화 약세 전망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 지속 가능성.
- 원/달러 환율은 미 달러화 흐름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영향을 받음.
- 최근에는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에도 달러 강세 지속되며 환율 높은 수준 유지.
-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에 따라 미 달러화 흐름 변동. 2001년, 2008년, 2019년의 사례 분석.
- 달러 강세 압력 유지 가능성과 미국, 글로벌 경제의 연착륙으로 인한 영향.
- IMF의 세계경제전망에 따른 미국 성장률 예상을 통한 미 달러화 약세 전망.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감소
- 외환보유액 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섬.
- 11월부터 증가세를 보였으나 1월에 다시 감소.
- 달러화 강세와 외환당국의 시장 안정화 조치로 분석됨.
- 외환보유액 감소는 달러화 강세와 원화 가치 하락 방지 대책에 따른 결과.
- 달러 대비 다른 통화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외환보유액 감소.
- 국채와 회사채 유가증권이 줄어든 것이 큰 영향.
- IMF 포지션과 특별인출권(SDR)도 감소.
- 예치금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세계 9위.
- 중국이 가장 많은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음.
원·달러 환율과 국채금리 동향
- 원·달러 환율이 1340원대 진입을 예상하던 중 하락(원화 가치 상승) 전환.
-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대비 3원20전 하락한 1327원60전에 마감.
- 환율은 전날 상승하며 출발했으나 오전 11시께 달러 매도 물량이 나오며 하락.
- 마감 시간에는 1320원대에서 거래 마감.
-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894원64전으로 전날 대비 하락.
- 국채금리는 단기물을 중심으로 하락. 3년 만기 국고채금리는 연 3.292%로 내렸고, 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3.322%에 마감.
- 그러나 장기금리는 상승. 10년 만기 국고채금리는 연 3.382에 거래를 마쳤음.
- 20년물과 30년물, 50년물 금리도 상승하였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