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
과민성 대장 증후군 (IBS)은 복통, 설사, 변비,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인 기능성 장 질환입니다. IBS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으로, 인구의 약 10%가 IBS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IBS의 증상:
- 복통: 가장 흔한 증상이며, 특히 식사 후에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통의 종류는 다양하며, 꼬인듯한 통증, 찌르는듯한 통증, 쥐어짜는듯한 통증 등이 있습니다.
- 변비 또는 설사: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나타나거나, 한쪽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변의 빈도, 변의 형태, 변의 긴장도 등이 변할 수 있습니다.
- 복부 팽만감: 복부가 부풀어 오른 느낌이나 가스가 차 있는 느낌이 나타납니다.
- 기타 증상:
- 변비: 불완전 배변감, 배변 후 불편함
- 설사: 급한 설사, 밤중 설사, 혈변
- 소화불량: 속 쓰림, 메스꺼움, 구토
- 피로감: 만성적인 피로
- 우울증 또는 불안: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IBS의 원인:
IB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장내 운동 이상: 장의 수축과 이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복통,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장내 미생물 불균형: 장내 세균총의 불균형은 장내 운동과 면역 반응에 영향을 미쳐 IBS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과민성 장: 스트레스, 감정적 자극 등에 대한 장의 민감도가 높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리적인 요인: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의 심리적인 요인은 IBS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습니다.
IBS의 진단:
IBS는 특정적인 검사를 통해 진단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IBS를 진단합니다.
- 증상: 복통, 설사, 변비,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을 자세히 물어봅니다.
- 병력: 과거 질병력, 가족력, 생활 습관 등을 확인합니다.
- 신체 검사: 복부를 검사하고, 통증이나 압통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혈액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대변 검사: 혈변이나 감염의 증거를 확인하기 위한 대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영상 검사: 복부 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다른 질환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