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이란 무엇일까요?
논은 물에 잠긴 채로 있는 농경지를 의미하며, 벼와 타로 등 수생 식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됩니다. 밭벼와 달리 벼는 원래 건조한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했지만, 20세기 이후부터 논에서 재배하는 방식이 벼농사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습니다.
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물에 잠겨있음: 논은 벼가 자라는 동안 물에 잠겨 있어야 합니다. 이는 벼가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벼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며,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병충해로부터 벼를 보호합니다.
- 평평한 지형: 논은 물을 고르게 배수하기 위해 평평하게 만들어집니다.
- 두렁: 논 주변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두렁이 만들어집니다. 두렁은 흙으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 관개 시설: 논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개 시설이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논에는 수로나 저수지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했지만, 현대적인 논에는 펌프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합니다.
논은 아시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농경 방식이며,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중요한 식량 생산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